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그레이 코드(gray code) 와 이진 코드(binary code) 변환 그레이 코드란 숫자를 표기하는 2진 표기법 중 하나이다. 10진수2진수(바이너리 코드)그레이 코드0000000001000100012001000113001100104010001105010101116011001017011101008100011009100111011010101111 [2진수와 그레이 코드 차이점]10진수 3 --> 4 로 값이 1이 증가하는 경우에 바이너리코드 0011 --> 0100 즉 [2:0]번 bit들의 값이 바뀌었다.(물론, 10진수 4 --> 5로 값이 1 증가하는 경우에 바이너리코드 0100 --> 0110 [1]번 bit의 값만 바뀌기도 한다.)즉, 값이 1씩 증가하거나, 1씩 감소할 때 바뀌는 bit의 갯수는 그때그때마다 다르다. 반면에그레이 코드의 경우엔 항상 하나의 bit만.. 더보기 YouTube 광고 없이 보는 방법 해당 글은 google chrome의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이므로.chrome에서만 적용이 된다. 구글에서 native adblocker 를 검색하면 위 그림처럼 "광고 추가됨 Native AdBlocker 102 - Google Chrome"를 발견 할 수 있다 혹은 아래 링크를 클릭하여 들어간다.https://chrome.google.com/webstore/detail/native-adblocker/camfdpcgapdnbokfgemmhdjeoajendmk?hl=ko 오른쪽에 보이는 "Chrome에 추가" 버튼을 클릭한다 "확장 프로그램 추가" 를 클릭한다. 그러면 확장 프로그램 설치가 완료되고, youtube를 광고없이 시청할 수 있게 된다. 더보기 호너의 법칙, 진법 변환 (feat. Honer's method) Honer’s method 호너의 법칙은 다항식을 푸는데 있어 계산량을 줄여준다. 프로그래밍에서 n진법을 10진법으로 바꿀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. 예를들어, 1101 이라는 2진수가 있다. 우리가 10진수로 바꿀 때, 아래와 같이 8+4+1 = 13 으로 변환을 했다. 이를 수식으로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다. 로 볼 수 있다. 여기에 x = 2를 대입(2진법 이기에)하여 계산해 보면, 우리가 위에서 계산한 방법과 똑같이 나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. 여기서, 를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. 일반화하면 다음과 같다. 이렇게 하면 좋은 점은, 계산량을 최소화할 수 있고, 첫 번째 오는 숫자가 몇 째 자리의 수 인지 계산하지 않고 순차적으로 계산할 수 있기때문이다. 이는 programming 할 때 .. 더보기 이전 1 ··· 5 6 7 8 9 10 11 다음